2022년 5월 런투노 개미투자 월간 실적 결산: -0.86% (vs. SP500 0.01%)
2022년 5월은 상당한 변동성에도 불구, 결과적으로는 거의 변화가 없었던 한 달이었다. 런투노 포트폴리오 벤치마크인 미국 S&P500 지수는 5월 동안 롤러코스터를 탔지만 결국 거의 4월 말과 같은 수준에서 한 달을 마쳤다.
여전히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한 런투노 포트폴리오는 금 값의 하락 및 파운드 환율 효과로 마이너스로 마감.
런투노 포트폴리오 5월 실적: -0.86%
5월 한 달 동안 벤치마크 대비 -0.87% 후퇴.
1. 포트폴리오 월간 수익률 결산 및 벤치마크 비교
이번 5월 런투노 포트폴리오는 -0.86%의 손실을 기록한 반면, 벤치마크인 미국 S&P 500 주가지수는 +0.01% 이익이 났다.
런투노 포트폴리오의 2022년 YTD 누적 수익률은 -4%,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 벤치마크인 미국 S&P 500 주가지수 2022년 누적 수익률은 -13.3%로 런투노 포트폴리오가 아직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다.
각 투자전략별 실적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연금 동적자산운용: -0.8%
2. 연금 주식적립투자: -1.63%
3. ISA 헤지펀드식 (long only): -0.53%
4. ISA 자산적립투자: -1.39%
금 비중을 높였지만 이달에는 수익이 나지 않았고 오히려 금 가격 하락으로 손실이 조금 늘어났다. 또한 파운드화 환율 평가 손실도 벤치마크보다 못한 수익을 기록한 원인.
현금을 들고 기다리는 것이 여전히 쉽지 않다. 하지만 아직은 목표만큼 주식 가격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 계속 보수적으로 현금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올 초부터 누적수익률 (아래 초록색)은 -4%로 조금 아쉽지만, 벤치마크 (아래 노란색)의 -13.3% 보다는 훨씬 나은 결과라는 것에 아직은 만족.
(각 투자전략별 세부 사항은 아래 글 참조)
2022.03.28 - [개미투자노트/투자철학 및 전략] - 런투노 개미투자전략
2. 후보 투자 자산군 별 실적 비교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 긴축에 대한 우려가 성장 둔화와 연준 (FED) 긴축 완화 기대로 바뀌면서 주가가 손실을 줄이면서 반등하고, 채권 금리도 하락하는 장세. 유럽 주가지수가 미국보다 선방했고, 중국 주가지수도 정부의 부양정책 기대 및 상해 락다운 해제로 반등했다. 여전히 에너지 관련 주가 강세는 이어진 5월. 금값 하락이 런투노 포트폴리오에는 마이너스로 작용.
3. 자산 배분 비율 및 포트폴리오 구성 비중
현금 비중을 일부 줄이고 금 투자를 늘렸다. 스태그플레이션을 대비한 결정. (아래 이전 글들 참조)
2022.05.07 - [개미투자노트/투자철학 및 전략] - 2022.5.3 현금 비중 축소 및 금 추가 매수
따라서 현재 현금 비중은 70% 이하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금을 12% 정도 보유하고 있다.
4. 주요 이벤트 복기
미 연준은 50 bps 금리 인상을 시작했다.
2022.05.05 - [기관투자노트/중앙은행 정책] - 2022.5.4 미 연준 FOMC 통화정책발표 복기: "75 bps 'NOT' actively considered"
시장에는 이제 미국 물가는 정점을 찍고 꺾이기 시작했다는 다수 견해가 우세하다. 하지만 런투노는 아직 정점을 확인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무시 못할 수준으로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2022.05.12 - [기관투자노트/경제지표] - 미국 4월 CPI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8.3% YoY) 및 향후 전망: NOT transitory at all
유럽은 아직 물가상승률이 정점을 찍지 않고 계속 올라가는 상황.
2022.05.19 - [기관투자노트/경제지표] - 영국 4월 CPI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cost of living' crisis deepens
특히 영국은 선진국 중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선두주자로 나선 상황.
2022.05.24 - [기관투자노트/경제지표] - 유럽 및 영국 5월 구매관리자지수 (PMI) 발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가는 영국
독일 물가 상승은 ECB를 보다 강한 긴축에 나서게 할 가능성이 있다.
2022.05.30 - [기관투자노트/경제지표] - 독일 2022년 5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 및 유럽 금리 상승
5. 향후 전망 및 대응 투자 전략
향후 전망은 다음과 같다. 런투노는 다음 두 글에서 아직 주가 바닥을 논하기는 이른 시점이라는 견해를 밝혔었다.
2022.05.21 - [기관투자노트/경제지표] - 2022 하반기 미국과 유럽 물가 전망 및 미국 S&P 500 주식지수 전망
2022.05.26 - [기관투자노트/경제지표] - FED PUT? 적정 주가 valuation? 결국은 US CPI에 달린 문제
이 견해는 여전히 변함이 없다.
하지만 역시 현금을 보유한 상황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것을 절감하고 있다. 아직까지 매크로 뷰가 틀리지 않았으니 지금의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한다.
Base scenario는 여전히 물가상승 압력 및 추가적인 긴축 통화정책 (금리 인상)으로 인한 주가 추가 조정
여전히 주식시장은 좀 더 조정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유럽 물가상승률은 신고점을 여전히 갱신중이다. 유럽 발 금리 상승 압력이 미국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 여전히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원자재 공급 충격은 현재진행형이다. 따라서 Base scenario는 여전히 물가상승 압력 및 추가적인 긴축 통화정책 (금리 인상). 이로 인한 주가 및 신용 전반 추가 조정, 그리고 달러화 강세.
Risk scenario:
다만 중국 코로나 봉쇄 조치가 풀리면서 공급사슬 정상화가 이루어지거나, 미-중 관세 인하를 통한 물가억제 정책, 내 예상과 달리 큰 폭으로 하락하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risk scenario로 상정하고 있다.
향후 투자 전략:
1. 금 가격이 지금 가격에서 더 하락할 경우 금 보유를 포트폴리오의 15% 수준까지 늘린다.
2. 벤치마크인 S&P 500 지수를 기준으로 3650-3700 부근 부터 현금을 활용해 주식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리기 시작한다.
3. 주식은 REIT 및 헬스케어, 에너지 산업 관련 ETF의 매수 기회를 노린다.
4. 올해 기본자세는 여전히 방어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이 글이 마음에 드셨나요?
런던투자노트는 런던에서 일하는 현직 채권 트레이더의 금융시장, 투자 및 유럽 관련 블로그입니다.
런투노의 새 글들을 이메일로 구독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세요.
'런던투자노트' 이메일로 구독하기
다음 링크를 통해 텔레그램 (Telegram)으로도 구독 가능합니다.